Author page: 카피킬러에듀

Conference 발표 후, 이를 학술지 논문으로 발표하면 중복게재인가요?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학술발표(conference)의 proceedings에 abstract, letter, poster 또는 full paper로 논문을 발표한 후, 이를 활용하여 학술지 논문으로 발표(게재)하면 중복게재에 해당되는가?  중복게재는 이미 발표된 자신의 중요한 연구 내용을 적절하게 출처표시 없이 마치 처음 발표하는 것처럼 하는 것이므로...

READ MORE

학술지 논문을 모아 박사학위 논문을 쓰는 경우, 출처를 밝혀야 하나요?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몇 편의 학술지 논문을 먼저 발표한 후, 이를 모아 박사학위 논문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도 출처를 밝혀야 하는가요?  최근 많은 대학의 이공계 학과에서는 박사학위 청구 자격으로 학술지에 논문 발표 실적을 요구하고 있다. 때문에 학위 논문에 포함될 연구 내용은 학술지에 먼저 발표한 내용을

READ MORE

[3](15)학위논문을 활용한 학술지 논문을 발표, 어떻게 해야 중복게재가 되지 않나요?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15. 석/박사 학위 논문을 쓴 후, 이것을 활용하여 학술지 논문으로 발표하고자 하는데, 어떻게 해야 중복게재가 되지 않을까요?  일반적으로 중복게재는 학술지 논문 간에 적용되는 것으로 석/박사 학위 논문의 학술지 논문으로의 출판은 대부분의 학문 분야에서 허용하고 있다. 석/박사 학위 논문은 학생이 전문 연구자로 성장하기...

READ MORE

[3](14)출처를 밝히면서 활용해도 중복게재 또는 자기표절에 해당되는가?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14. 자신의 이전 연구 내용을 곧 게재하고자 하는 연구 논문에서 출처를 밝히면서 활용해도 중복게재 또는 자기표절에 해당되는가?  연구자가 연구를 할 때마다 매번 새로운 주제에 대해 연구를 하기란 쉽지 않다. 오히려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하여 이를 심화하고 확대하는 것이 연구의 특성이라고 할 수

READ MORE

[3](13)직접인용과 간접인용을 판단하는 기준이 있는가?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13.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을 판단하는 기준이 있는가? 단락에 직접인용과 간접인용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어떻게 출처표기 해야 하는가?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을 구분하는 아주 간단하고도 쉬운 방법은 인용부호(“ ”) 또는 인용 단락(indentation, 인용되는 내용을 줄을 바꾼 후, 본문 보다 좌우 여백을 더 주거나 글자...

READ MORE

[3](12)’○○○의 ○○의 자료를 인용하여 구성하였다’ 라는 출처표기는 잘못된 것인가?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12. “이 장, 절은 000의 00의 자료를 인용하여 구성되었다”라는 출처표기는 잘못된 출처표시인가?  학술적 글쓰기에서 포괄적/개괄적 출처표시가 필요한 경우가 있지만, 부적절한 출처표시가 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포괄적/개괄적 출처표시란 저작물의 장이나 절, 항의 제목 부분 등에 출처표기를 하고 그와 관련된...

READ MORE

[3](11)데이터를 분석하여 표/그림으로 제시하는 경우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하는가?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11. 연구주제 상 해당 데이터를 연도별로 모아 연구자가 추출 및 데이터화하여 이의 변화 추이 흐름 등을 분석하여 표/그림으로 제시하는 경우 매 표/그림에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하는가. 본문 내 해당 내용을 명기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없는가?  해당 데이터가 자신이 이전에 이미 제시한 것을

READ MORE

[3](10)의도적이지 않은 표절의 경우 연구부정행위인가?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10. 동일한 내용이 여러 개의 연구결과물에서 사용되었으나 저자는 일부만 참고하였기에 해당 부분만 출처표기를 한 ‘의도적이지 않은 표절’의 경우 연구부정행위인가?  연구자가 인용한 내용이 여러 개의 연구 결과물에 있지만 연구자가 실제로 본 연구 결과물에 대해 출처를 정확하게 밝혔다면 이는 표절이라고 볼 수 없다. 물론

READ MORE

[3](9)본문상의 출처표기를 할 때, 페이지를 반드시 적어야 하는가?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9. 본문상의 출처표기를 할 때, 페이지를 반드시 적어야 하는가? 페이지를 잘못 기재하여 오히려 표절 의심사례가 발생할 수도 있지 않은가?  연구자가 활용한 타인의 저작물에 대하여 출처를 밝힐 때 가급적 상세하게 서지사항을 밝혀주는 것이 좋다. 그래야만 그 출처를 통해 관련 내용을 확인하거나 확장된 자료나

READ MORE

[3](8)타인의 저작물을 활용하는 경우 일부에만 출처를 표시하는 것은 연구부정행위인가?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8. 타인의 저작물을 활용하는 경우 일부에만 출처를 표시한 것은 연구부정행위인가?  일반적으로‘타인(1인 또는 다수)의 저작물 중에서 독창적이거나 중요한 부분을 활용한 경우 그에 대해 모두 출처표기를 해야 하지만 어느 일부에만 하는 경우’는 표절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학술 논문이나 연구 보고서 등 학술적...

READ MORE

[3](7)2차문헌만을 참고하여 검사도구를 활용한 경우 2차의 출처만 표기하면 되나요?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7. 심리 검사 도구 등을 활용할 때 각 척도마다 원자료의 출처를 표기하도록 관행화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원자료를 보지 않고, 2차문헌을 통해 척도를 활용한 경우, 원자료는 표기하지 않고, 2차문헌의 출처(저자, 페이지)만 표기하면 인용에 문제가 없는 것인지요?  연구자가 활용하고자 하는 심리 척도(검사 도구

READ MORE

[3](6)연구부정행위에 대한 검증시효가 있나요?

[기획연재]바람직한 연구윤리 문화 확립을 위한 기획 연재(3) “표절과 중복게재 Q/A 및 사례 분석” 6.위조, 변조, 표절 등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검증 시효가 있나요? 있다면 얼마나 되는가요? 그리고 연구부정행위에 따른 징계 시효는 얼마나 되는가요? 검증 시효란 연구부정행위가 발생한 날로부터 일정 기간 이내에만 연구진실성 검증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2007년 2월에 제정된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에서는 연구부정행위가 제보된...

READ MORE